게임 현지화를 총괄하는 PM(프로젝트 매니저)가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PM 이 진행하는 업무 체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 현지화 프로젝트는 어떠한 프로세스로 진행될까요? 라티스글로벌에서 현지화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래도록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 현지화는 필수입니다. 그렇다면 현지화가 필요한 구체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게임 현지화는 글로벌 게임 런칭에 필수적 요소이지만, 현지화를 거친 모든 게임이 사용자들로부터 지지를 받진 못합니다.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만큼의 품질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고객을 어떻게 지원하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게이머들이 이탈할 수도 있고 되돌아올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게임 운영과 고객 만족 서비스가 게임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컨대 게임더빙은 사용자들이 자막을 보지 않고도 게임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게임 더빙(음성 한글화)에 성공한 4가지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게임더빙이란 무엇이고, 게임더빙 작업을 진행할 때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할지, 함께 자세히 살펴보실까요?
스마트폰과 초고속 인터넷의 확산으로 YouTube를 비롯한 동영상 플랫폼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게임사들은 진출하려는 나라의 특성에 맞게 게임을 현지화 할 수 있는 믿음직한 글로벌 파트너사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챗봇에 ‘빠지다’ -협력 통한 ‘게임 유저에 친화된’ 게임 CS 서비스 목표
– 중소 개발사의 글로벌 진출 위한 전문 컨설팅 선보여 – 11월 15일~17일까지 지스타 2018 B2B 부스서 진행
-글로벌 직접 진출의 첫 단추 다국어 ‘현지화’와 ‘보이스 레코딩’ -지스타 통해 해외 진출 적극 지원 예정, 게임 개발사들의 ‘갈증 해소’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