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게임 시장 개요

  • 게임인더스트리비즈(GamesIndustry.biz)에 따르면, 2024년 대만 인구 약 2,300만 명으로 규모는 작지만 모바일 게임 시장 규모가 25억 달러 (한화 약 3조 4,792억 원)로 세계 6위 수준이며, 소득 증가로 인해 소비 인구도 많은 편임
  • 대만 데이터분석 업체 LnData와 글로벌 리서치 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전자게임 시장에서 모바일 게임 이용자 비율이 2025년 1월 기준 88%로 가장 높음
  • 대만콘텐츠진흥원(TAICCA)에 따르면, 2020~2023년 대만 인구 중 모바일 게임 이용자 비율은 58~63%로 유지했으며, 한 달 평균 지출액은 301~400 TWD (한화 약 18,384 원)수준임
  • 2023년 대만 모바일 게임 이용자는 남녀 비율이 남 60%, 여 57%로 비슷하지만, 유료 이용자 비율은 남성이 53%, 여성이 35%로 큰 차이를 보여줌
  • 2020~2023년 동안 모바일 게임 유료 이용자 중 남성 비율은 33%에서 53%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여성은 20%에서 35%까지 상승하다가 2023년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5년 대만 모바일 게임 이용자 중 여성 선호도가 증가하여 성별 비율은 여성 90%, 남성 86%로 장르별 성향이 뚜렷해 보임
  • 여성은 캐주얼, 카지노·카드, 시뮬레이션, 음악·댄스 장르를 선호하고, 남성은 롤플레잉, 실시간 전략, 슈터, 액션·모험 장르를 선호하며 증강현실(AR) 게임은 남녀 선호 비율이 8%로 동일했음

대만 게임 시장 특징

1. 모바일 게임 연력별 소비 동향

  • 2023년 대만 모바일 게임 이용자 비율은 연령과 반비례 관계를 보이며, 연령대별로는 10대가 (7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0대 (71%), 30대 (70%), 40대 (63%), 50대(48%), 60대 (35%) 순으로 나타남
  • 연령별 한 달 지출 평균값은 30~40대와 60대가 401~500 TWD (한화 약 23,075원)로 가장 높았고, 10~20대와 50대는 201~300 TWD (한화 약 13,815 원)로 가장 낮음
  • 이는 모바일 게임 지출 수준이 연령 자체보다 경제 수준이나 여가 시간 등 다른 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점을 보여줌

2. 모바일 게임 연력별 소비 동향

  • 대만콘텐츠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2022년 대만 전자게임 기업 133개 중 모바일 게임 제작 비율은 44.4%, 컴퓨터 게임 제작 비율은 43.6%로 나타남
  • 또한 2022년 대만 전자게임 기업의 약 70%가 중소기업으로, 세부적으로는 자본금 500만 TWD (한화 약 2억 3,000만 원) 미만 46.6%, 500만~5천만 TWD (한화 약 2억 3,000만~23억 원)미만 25.6%, 5천만~5억 TWD (한화 약 23억~230억 원) 미만 21.8%, 5억 TWD(한화 약 230억 원) 이상 3.8%, 미등기 기업이 2.3%로의 비중으로 확인됨
  • 2022년 대만 전자게임 기업의 평균 매출은 국내 59.5%, 해외 40.5%로 여전히 국내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

3. 모바일 게임 기업의 선호 수익화 방식

  • 2025년 기준 대만 모바일 게임 회사는 249개로,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전체 게임 회사 (72,489개)의 약 0.34%에 불과하고, 이들이 게시한 게임 수는 754개로 전체 (245,718개)의 0.3% 수준임
  • 대만 모바일 게임의 iOS·안드로이드 동시 게시 비율은 48%로 세계 평균 (26%)보다 높았으나, 구글 플레이 평균 다운로드 수는 97.3만 회로 세계 평균(140만 회)의 약 69.5% 수준임
  • 2025년 대만 모바일 게임 기업의 수익화 방식은 인앱 광고 60%, 인앱 구매 53%, 유료 게임 8%로, 세계 평균(인앱 광고 74%, 인앱 구매 35%, 유료 게임 4%)과 비교했을 때 유료 게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 또한 대만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90%가 부분 유료화 게임을 선호하고, 유료·일회성 구매·구독 게임도 일정 비율을 차지하며 주요 지출 동기는 게임 내 구매 요청(33%), 플레이 유지 및 다음 단계 진출(28%), 합리적인 가격(25%), 경쟁 우위(6%), 시각 효과 증진(6%) 순으로 나타남

대만 게임 시장 진출 전략

1. 부분 유료화(Free-To-Play) 중심 수익화 전략

  • 대만 소비자는 대다수가 부분 유료화 게임을 선호하며, 유료 게임의 경우 ‘제품에 대한 신뢰 후 지출’ 경향을 보임
  • 따라서 한국 기업은 게임 초반 무료 접근성을 확보하면서 부분 유료화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음

2. 소비층 다변화: 여성 및 고령층 공략

  • 대만에서는 여성과 60대 이상 고령층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은 카드·캐주얼·리듬댄스·시뮬레이션 장르를 선호하므로 감성적인 그래픽과 스토리 중심의 기획이 필요하고, 60대는 게임 지출 평균값이 가장 높아 구매력이 있는 신규 타겟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퍼즐·보드게임 등 고령층 맞춤형 UI/UX 및 콘텐츠 기획이 필요함

3. 현지화 및 브랜드 신뢰 구축

  • 한국 중소 게임사는 현지 배급사와의 협력이나 대만 시장 맞춤형 소형 게임을 통해 진출을 모색할 수 있음
  • 대만 시장은 유료 게임과 인앱 구매에 관대한 편이지만, 신뢰 기반의 소비 성향이 강하므로 브랜드 인지도 제고, 현지 언어 번역의 정확성, 문화 코드 반영 등을 세밀하게 고려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