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게임 시장 개요

  • 중동 게임시장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2030’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투자, 30세 이하 젊은 인구(52.9%), 높은 인터넷 보급률 등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며, MENA 지역은 2025년까지 연평균 9.02% 성장이 예상됨
  • 중동의 핵심 국가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등 고소득층 유저 중심으로 게임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사우디아라비아의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는 ‘비전 203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게임 및 e스포츠 산업에 380억 달러(한화 약 54조 4,920억원)의 막대한 투자를 하여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중심지로 도약하고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는 Riyadh Season, 아랍에미리트는 e스포츠 페스티벌과 같은 글로벌 이벤트를 통해 지역 게임 생태계를 성장시키고 있음
  •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인터넷 보급률은 100%로, 2023년 기준 선진화 되어있는 한국의 인터넷 보급률 (95.33%)을 초과함
  • 모바일 중심의 소비와 PC, 콘솔 수요 증가가 두드러지며, 한국 정부는 FTA 체결, K-콘텐츠 전략 등을 통해 중동과의 경제 협력과 게임 수출 확대를 적극 추진 중임
  • 2023년 2월, 문화체육관광부는 ‘K-콘텐츠 수출전략’을 발표하며, 북미, 유럽, 중동 등 신시장을 적극 개척하고, 해외 웹툰 시장을 우리 기업이 선점하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 이를 통해 K-콘텐츠를 수출산업으로 육성하여 2027년까지 수출 250억 달러(한화 약 35조 8,500억원)를 달성하고, 세계 4대 콘텐츠 강국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음

중동게이머의 한국게임 이용특성

  • 중동에서 주로 이용되는 게임 플랫폼은 모바일게임(44.2%), 콘솔게임(28.1%), PC게임(21.2%) 순으로, 글로벌과 비교하면 모바일게임 선호도가 2.2% 더 높음
  • 게임 이용시간에서도 모바일게임이 하루 평균 3.73시간으로 가장 높고 이는 PC게임(3.47시간) 및 콘솔게임 (3.07시간)을 상회하며, 모바일 플랫폼이 중동 지역에서 게임 이용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줌
  • 중동게이머는 배틀로얄 장르를 모든 플랫폼에서 각각 26.2%, 23.7%, 27.1%로 순으로 나타나며, 이 장르가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줌
  • 한국게임 이용시간은 주 평균 3.58시간으로 글로벌 게이머의 3.23시간보다 높으며, 각 장르별 이용 시간도 높게 나타남
  • 한달 평균 한국게임 지출비용은 61.2달러(한화 약 8만 7,760원)로, 전체평균 43.1달러(한화 약 6만 1,800원)에 비해 높으며, 전체 모바일 지출금액 평균이 46.9달러 (한화 약 6만 7,254원)임에 반해 중동은 70.2달러 (한화 약 10만 666원)에 달해 모바일에서 그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남
  • 한국게임을 알게 된 주요 경로는 SNS(57.4%), 온라인 영상 콘텐츠 (56.,4%), 지인 추천(46.8%) 등으로 응답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트렌드와 유사하나 그 비중이 더 크게 나타남
  • 특히, 중동게이머의 게임이벤트 및 어워드 게임 인기차트(35.8%)보다 높게 나타남
  • 한국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그래픽 및 사운드, 소셜 환경, 콘텐츠의 재미 요소가 가장 높게 조사됨
  • 중동 게이머는 한국게임 개선사항으로 과도한 용량 및 접속,전환 지연, 높은 비용,콘텐츠의 과도한 반복 작업을 대부분 가장 큰 개선점으로 꼽았으며, 이는 글로벌의 경우와 거의 유사함
  • 콘솔 플랫폼에서는 접속지연을 가장 큰 문제로 인지하며, 비용뿐 아니라 아랍어 미지원도 주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

중동 게임 시장 진출 전략

  1. 아랍어 지원 확대 필요
    • 중동게이머는 아랍어를 지원하는 한국게임 이용시간과 지출비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용시간에서 이러한 차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남
    • 아랍어 지원은 게임의 접근성과 몰입도를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현지화 작업이 필수적임
  2. 종교, 문화적 행사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 라마단, 이드 알피트르 등 종교적 행사 기간 동안 중동게이머의 게임 이용시간과 지출비용이 절반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한국게임 이용시간 및 지출금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종교, 문화적 행사는 게임 이용시간과 지출금액 증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중요한 시기로, 중동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소비 습관을 반영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3. 기술적 최적화 전략
    • 로컬 서버 구축, 게임 용량 경량화, 끊김 최소화를 통한 UX 개선 등 저사양 기기에서도 원활히 작동하는 경량 버전의 게임 출시 전략도 필요함
  4. 정책적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중동게임시장 진출을 위한 전용 지원 프로그램 마련, 중소 게임 개발사를 대상으로 자금 지원과 현지 네트워크 확립 지원, 문화체육관광부와 협력한 맞춤형 마케팅과 문화 교류 지원이 필요함
    • 글로벌 게임 소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중동게이머를 포함한 글로벌 게임시장의 패턴과 니즈를 장기적으로 분석할 체계적 데이터 구축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