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게임 시장 개요

  • 2024년 중국 게임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7.5% 증가한 3,257억 8,300만 위안(한화 약 63조 1,628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신규 인기작과 히트작의 출시, 장기 서비스 게임의 안정적 운영이 매출 성장을 견인함
  • 2024년 중국 게임시장 이용자 수는 전년 대비 0.9% 증가한 6억 7,400만 명으로, 증가율은 둔화되었지만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 2024년 중국 모바일게임 매출은 2,382억 1,700만 위안(한화 약 46조 1,855억 원)으로 전체 게임시장의 73.1%를 차지, 모바일게임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22년 32%에서 2024년 37.5%로 확대되었으며, 상위 10위 게임 중 6종은 텐센트가 퍼블리싱함
  • <왕자영요>는 낮은 스킨 가격에도 불구하고 시즌 업데이트와 커뮤니티 운영을 통해 앱 내 결제 매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중 PC 게임은 전체의 20.8%, 웹게임은 1.4%를 차지함
  • 콘솔, 비디오, 클라우드게임의 시장 점유율은 2024년 4.5%로 상승했으며, 특히 <검은 신화: 오공>의 흥행으로 콘솔게임 매출이 전년 대비 55.1% 증가함
  • 서브컬처 모바일게임은 흥행 신작 부족과 경쟁 심화로 매출이 7.4% 감소하였으며, 캐주얼게임은 전체적으로 소폭 하락세를 보임
  • e스포츠 시장은 톱게임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로 전년 대비 7.5% 증가한 1,429억 4,500만 위안(한화 약 27조 7,027억 원)을 기록함
  • 미니게임 시장은 앱 내 결제와 광고 매출이 모두 급증하며 전년 대비 99.1% 성장했으며 전체 수익 모델에서 앱 내 결제가 68.7%, 광고가 31.3%를 차지함

중국 게임 시장 트렌드

1. 하이브리드 캐주얼게임

  • 하이브리드 캐주얼게임은 간단한 조작과 미드코어 요소를 결합한 장르로, 짧은 시간 안에 즐길 수 있고 가성비가 높아 인기를 끌고 있음
  • 대표적인 중국산 게임으로는 <삼국: 천하제패>, <화이트 아웃 서바이벌>, <라스트 워: 서바이벌>, <버섯커 키우기> 등이 있으며, 이들 게임의 2024년 앱 내 결제 매출은 총 160억 위안(한화 약 3조 1,000억 원)에 달함
  • 감마데이터에 따르면, 긴 플레이 시간이나 높은 과금에 부담을 느끼는 유저들이 늘어나면서 이 같은 하이브리드 캐주얼게임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하이브리드 캐주얼 전략 게임의 매출이 2022년 8.1억 위안(한화 약 1,569억 원)에서 2024년 72.9억 위안(한화 약 1조 4,122억 원)으로 급증했으며, 2024년 중국산 모바일게임 매출 상위 100위 중 방치형 RPG 비율도 2023년 4.1%에서 2024년 6%로 증가함

2. 점점 커지는 미니게임 시장

  • 2022~2024년 미니게임 시장은 182.3%의 고성장을 기록, 위챗·QQ·더우인 등 플랫폼 기반으로 대형 기업들의 진입이 활발해졌으며, 지속적으로 인기작들의 유저를 유입시키는 추세임
  • 2024년 기준 중국 미니게임의 평균 수명주기가 1년 2개월에서 2년 4개월로 증가하며, 게임사의 수익 안정성과 투자수익률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 미니게임 시장이 포화된 내수 시장을 벗어나 동남아를 중심으로 해외 진출이 본격화되었으며, 2024년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215% 증가함
  • 위챗게임즈의 현지화 전략과 앱으로 수출 방식이 확대되고 있으며, 절반 이상의 인기 미니게임이 해외 버전으로 출시되어 글로벌 확장세를 보이고 있음

3. 주목받는 여성향 게임

  • 2024년 중국 여성향 게임 시장은 전년 대비 124.1% 성장한 80억 위안(한화 약 1조 5,499억 원)규모로, 2023년부터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러브 앤 딥스페이스>, <샤이닝 니키> 등 스토리 중심의 대표작들이 매출 상위를 차지함
  • 최근 여성향 게임은 언리얼엔진4 등 첨단 기술과 삼국지, 오픈월드 등 인기 요소를 접목하며 그래픽과 소재 측면에서 다변화를 이루고 있음

중국 게임 산업에 대한 지원정책과 시사점

  • 중국 정부는 2024년 문화소비를 통한 내수 확대와 글로벌 문화 전파 강화를 목표로 게임산업 진흥 정책을 적극 도입함
  • 3월 발표된 <소비촉진 특별 시행계획>은 전통문화 기반 오리지널 IP 육성과 게임·e스포츠 소비 확대를 포함되어 있으며 4월 <서비스업 개방 확대 시범사업 방안>에서는 게임의 해외 진출 전 밸류체인을 중점 지원 대상으로 처음 포함함
  • 중국 게임산업은 기술 기반 콘텐츠 강점을 바탕으로 2024년 약 3,258억 위안(한화 약 63조 585억 원)매출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회복했고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됨
  • 외산 게임에 대한 판호 발급도 확대되는 추세로 2022년 외산 게임 판호 44건, 2023년 98건, 2024년 110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기준 누적 외산 게임 판호는 30건에 이르며, IP 리메이크와 현지화 전략을 갖춘 고퀄리티 게임이 다수 포함됨
  • 한국 게임의 경우 2023년~2025년 4월까지 18종의 게임이 판호를 받았으며, 그 중 <던전앤 파이터: 오리진>은 2024년 매출 3위를 기록함
  • 향후 중국 게임 시장 진출 시 주목을 받고 있는 하이브리드 캐주얼, 미니게임, 여성향 게임 등 신흥 장르에 대한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 중국 개발 및 유통사와 협력해 전통적 판호 발급 외에도 우회 진출 방식을 활용하면 추가 비즈니스 기회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