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임만을 위한 현지화 전문 기업 Latis Global Communications입니다. (이하 Latis Global)
자사는 게임을 잘 아는 현지화 전문가들이 직접 현지화 프로젝트를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 이용자들도 이질감 없이 생생하게 게임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글로벌 출시했을 때, 현지 게이머들이 게임에 포함된 문화적인 요소에 이질감, 거부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려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바로 게임 현지화(Localization) 작업을 거치는 것입니다.
현지화의 사전적 의미는 ‘기업이 목표시장으로 하는 현지의 문화, 언어, 관습, 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과정’입니다. 즉, 재화나 서비스를 가장 현지에 부합하도록 ‘지역화’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현지 시장의 문화에 가장 부합하도록 만드는 과정에 집중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 현지화 작업은 왜 필요합니까?
게임은 재미를 주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된 콘텐츠입니다. 따라서 게임이 인기를 끌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겠지만, 최우선으로는 게임의 재미가 보장돼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을 게임 개발자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만든 게임이 국내 이용자 상대로 폭발적인 반응을 끌어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아마 여러분들은 구글 플레이스토어(Google Play Store), 앱스토어(App store), 스팀(Steam) 같은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국가의 이용자들에게 게임을 선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국가에 게임을 출시한다는 것은 곧 게임의 재미와 가치를 여러 국가의 이용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가장 부합하는 언어로 전달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는 굉장히 어렵고 까다로운 과정입니다. 단순히 텍스트만을 대체하는 과정이 아닌, 현지 이용자들이 가장 친숙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그들의 사상과 문화에 거부감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일 문화적인 부분을 간과했을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게 될까요?
문화적 요소에 집중해서 게임을 현지화 해야 하는 이유
(1) 문화적인 충돌을 막기 위해
격투초인(kakuto Chojin) : 게임 현지화할 때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게임 현지화 시 현지 문화를 고려하지 않아 문제를 빚은 대표적인 사례로는, 비디오 게임 ‘격투 초인(Kakuto Chojin)’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2003년, Xbox용 대전게임 격투 초인(Kakuto Chojin)이 종교적인 문제로 인해 판매를 중지하고 전 세계 매장에서 일제히 리콜하게 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게임을 회수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격투 초인(Kakuto Chojin)에 사용된 BGM(배경음악)에 이슬람교의 성전 코란(Qur’an)의 일부가 포함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용자들의 반발을 넘어서서 자칫 큰 문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반드시 삭제했어야 하는 사안이었습니다.
그러나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발매된 일부 제품들로 인해 많은 소비자의 항의를 받게 되고 MS는 결국 전 세계 매장에서 전량적으로 회수하기에 이릅니다.
위 사례는 현지 문화에 맞게끔 바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경우입니다. 특정 문화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문제의 소지가 있음에도 그대로 게임을 출시했을 경우 막대한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발매를 취소하고 회수하는 데서 오는 금전적 손실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게임 이용자들이 개발사(혹은 개발자)에 대해 보내는 신뢰와 브랜드 가치라는 무형의 가치들은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것입니다. 한순간의 실수로 인해 가치를 훼손하게 될 경우, 이를 복구하고 다시 쌓아 올리는 데는 몇 배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문화적 요소에 집중해서 게임을 현지화 해야 하는 이유
(2) 게임의 재미를 극대화하기 위해
나라별 문화적인 특징에 맞게 게임을 현지화를 했을 경우 불필요한 이슈를 방지할 뿐 아니라, 원작의 재미를 온전히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 캐릭터의 대사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그 이가 무사히 강을 건널 수 있도록 카론에게 줄 뱃삯도 함께 넣어야지
– 당신과 영원한 약속을 할거야, 저 스틱스 강을 걸고
누군가는 위의 두 문장을 보고 “음 누군가가 죽어 장례를 치르고 있군. 망자를 위해 *카론(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존재로,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하는 아케론 강의 뱃사공을 뜻함)에게 전할 돈을 함께 묻는다는 뜻이겠군” 혹은 “스틱스 강을 걸고 맹세한다는 뜻은 정말 중요한 맹세라는 뜻이겠군. 이 약속은 서로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나봐” 라고 알아챌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카론’이 대체 누군지, ‘스틱스 강’은 어떤 의미인지 알기 위해 검색을 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수고로움으로 인해 게임을 이탈할지 모릅니다.
그러므로 여러 문화권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게임 이용자만 있다고 가정해 게임을 출시할 경우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이용자가 나올 수 있습니다. 때문에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표현은 친절하게 풀이하거나 현지 이용자에게 익숙한 표현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지 문화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원어민이 리뷰/감수 과정에 참여할 경우 현지 게임 이용자들에게 가장 친숙한 표현들로 바꾸는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경우 익숙한 표현들을 통해 원작이 의도한 재미 요소를 해외 이용자들에게도 생생히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사례를 통해 게임의 현지화, 그 중에서도 문화적 요소에 집중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봤습니다.
다음 화에는 게임 현지화 전문 기업 Latis Global에 대해 알아볼 예정으로, 현지화(Localization) 팀에서 번역본 리뷰 작업을 맡고 있는 Linguist(Reviewer)가 하는 업무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그럼 다음 화도 기대해 주세요!